분류 전체보기22 UUID vs ULID: 분산 로그 시스템에서 고유 ID 선택하기 마이크로서비스 환경에서 10여 대의 서버로 구성된 로그 시스템을 운영하면서 겪었던 실제 이야기입니다. 각 서버에서 초당 수백 개의 로그가 생성되는데, 이들을 하나의 중앙 저장소로 수집해서 시간순으로 분석해야 하는 상황이었습니다.처음에는 당연히 UUID를 사용했습니다. 고유성은 보장되지만 문제가 있었죠. 로그를 시간순으로 조회하려면 별도의 timestamp 컬럼을 만들어야 했고, 복합 인덱스를 걸어야 했습니다. 더 큰 문제는 UUID의 랜덤한 특성 때문에 데이터베이스 인덱스가 계속 재구성되면서 INSERT 성능이 떨어지는 것이었습니다.이런 고민 끝에 발견한 것이 바로 ULID(Universally Unique Lexicographically Sortable Identifier)입니다. 과연 기존 UUID의.. 2025. 6. 4. 🤔 정보유출 걱정 끝! Ollama로 우리 회사만의 안전한 LLM 사용 + Open WebUI ⚡ 시작하기 전에: 양자화(Quantization) 이해하기🤔 양자화란? 쉽게 말하면 "AI 모델 다이어트"양자화는 AI 모델을 더 작고 빠르게 만드는 압축 기술입니다. 마치 4K 영상을 1080p로 변환하는 것처럼, 품질은 조금 희생하지만 용량과 속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양자화 레벨별 비교 (실제 테스트 결과)양자화 레벨원본 대비 크기품질속도추천 용도원본 (FP16)100%⭐⭐⭐⭐⭐보통최고 품질 필요시Q8~60%⭐⭐⭐⭐⭐빠름품질+속도 균형Q6_K~50%⭐⭐⭐⭐빠름가장 실용적Q4_K_M~35%⭐⭐⭐매우 빠름일반 사용Q2_K~25%⭐⭐초고속실험용🎯 내가 테스트해본 양자화 모델들# 내 모델 리스트에서 양자화 모델 찾기gemma3:27b-it-qat # QAT = Quantizatio.. 2025. 6. 3. 🚀 LangChain 생태계 완벽 가이드: 직장인이 꼭 알아야 할 AI 개발 도구들 최근 회사에서 "AI 챗봇 좀 만들어봐" 라는 요청을 받았다면? 아니면 "고객 문의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해보자"는 말을 들었다면? 이제 LangChain을 피해갈 수 없습니다.하지만 LangChain, LangGraph, LangChain Agent, LangFlow... 이 모든 것들이 대체 뭐가 다른지 헷갈리시죠? 오늘은 실무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관점에서 이들의 차이점과 언제 무엇을 사용해야 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LangChain: AI 애플리케이션의 레고 블록핵심 개념LangChain은 AI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한 프레임워크입니다. 마치 웹 개발에서 Django나 Express.js 같은 역할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실무에서 이런 상황에 사용합니다문서 기반 Q&A 시스템.. 2025. 6. 2. Redis 말고 공유 메모리? 웹서버 여러대에서 증권 시세를 빠르게 공유하는 새로운 방법 https://github.com/onesound71/stock_shared_memory 안녕하세요! 오늘은 웹서버 간 실시간 증권 시세를 공유하는 조금 다른 접근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GitHub - onesound71/stock_shared_memoryContribute to onesound71/stock_shared_memory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왜 이 글을 쓰게 되었나요?웹서버에서 실시간 주식 데이터를 공유하려고 하면, 대부분 Redis를 먼저 떠올리시죠? 저도 그랬습니다. 하지만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정말 Redis가 항상 최선일까?"라는 의문이 들었어요.특히 초고속 처리가 필요한 상황에서 Redis.. 2025. 6. 1. 🎯iframe 없이 서버 간 웹 페이지 통합하기: HTML Fetch 방식으로 마이크로서비스 UI 통합 https://github.com/onesound71/WebContentIntegration GitHub - onesound71/WebContentIntegrationContribute to onesound71/WebContentIntegration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웹 개발을 하다 보면 여러 서버의 웹 페이지를 하나로 통합해야 하는 상황이 생깁니다. 보통은 iframe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iframe은 여러 제약사항이 있죠. 스타일링의 어려움, 보안 정책, 반응형 디자인의 한계 등등...그래서 iframe 없이 서버 A에서 서버 B의 웹 페이지를 완전히 컨트롤할 수 있는 방법을 실험해봤습니다. 완벽한 해결책은.. 2025. 5. 31. 🔐 SSO(Single Sign-On)란? 하나의 로그인으로 모든 서비스 이용하기 🔐 SSO 시스템의 서버 간 API 키 인증 완벽 가이드https://github.com/onesound71/sso_server"하나의 키로 모든 서비스에 접근하는 마법" - 서버 간 통신에서 SSO API 키를 활용한 자동화된 인증 시스템을 구축해보세요! GitHub - onesound71/sso_serverContribute to onesound71/sso_server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github.com 🎯 왜 서버 간 API 키 인증이 필요할까?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 여러 서버가 서로 통신해야 하는 상황은 매우 흔합니다. 예를 들어:주문 서비스가 결제 서비스에 결제 요청사용자 서비스가 알림 서비스에 메시지 전송 요청API 게이.. 2025. 5. 30. 이전 1 2 3 4 다음